google-site-verification=9wO5otghBPmsiLtmnxvkVavGsKOC61mN1ROXLODO7wc 공부를 시킬 수 없다면? 아이가 스스로 공부하게 만드는 부모의 태도
본문 바로가기
단단한 멘탈

공부를 시킬 수 없다면? 아이가 스스로 공부하게 만드는 부모의 태도

by thinkjin 2025. 4. 9.

 

“왜 우리 아이는 공부를 안 할까?” 그 고민, 이제 방향을 바꿔보세요


부모는 아이를 공부시킬 수 없습니다

많은 부모님들이 아이가 공부하지 않는 모습을 보며 답답해합니다.
“공부 좀 해라.”
“오늘 시험 범위는 다 외웠니?”
“대체 놀기만 하고 언제 책을 펼 거야?”

하지만 이 말을 오늘 처음 들으셨다면 꼭 기억해 주세요.
“부모는 아이를 공부시키는 존재가 아닙니다.”
부모는 아이를 ‘공부하게 만들 수 없다’는 사실을 먼저 받아들여야 합니다.

물론 억지로 앉혀놓고 문제집을 펴게 할 수는 있습니다. 하지만 '진짜 학습', 아이의 뇌가 전전두엽을 사용해 정보를 흡수하고 성장을 이루는 ‘진짜 공부’는 자율성에서 시작됩니다.


공부의 진짜 동기는 ‘내 안에서’ 시작돼요

아이들이 공부를 하는 이유는 뭘까요?

✅ 시험 점수, 상장, 칭찬을 받기 위해?
✅ 아니면 배우는 자체가 즐겁고 뿌듯해서?

전자는 '외재 동기(Extrinsic Motivation)', 후자는 '내재 동기(Intrinsic Motivation)'입니다.

교육학자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내재 동기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습니다. 즉,

“성적을 위해서”가 아니라 “그 자체가 재밌어서” 공부하는 아이가 더 오래, 더 깊이 학습할 수 있다는 것

이죠.


내재 동기를 만드는 세 가지 키워드 – SDT 이론

미국 교육심리학자 디시(Deci)와 라이언(Ryan)이 연구한 ‘자기 결정성 이론(Self-Determination Theory, SDT)’에 따르면, 아이의 자율적인 동기를 만들기 위한 세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.

  • 1. 자율성(Autonomy)
    “공부는 내가 선택한 거야”라는 감각. 계획, 시간, 교재 등을 스스로 결정하게 해 주세요.
  • 2. 관계성(Relatedness)
    “나는 소속감을 느끼고 있어.” 부모와의 유대, 또래와의 연결을 통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가질 때 뇌는 학습에 더 잘 반응합니다.
  • 3. 유능감(Competence)
    “나는 노력하면 해낼 수 있어.” 작은 성공 경험을 반복하고, 성장 마인드셋을 심어주세요.

이 세 가지가 충족되면 아이의 전전두엽은 활성화되고, 학습 능력과 정서 안정, 행복감까지 함께 자랍니다.


왜 게임은 잘하면서 공부는 못할까?

많은 부모님이 이런 말을 하세요.
“공부는 안 하면서 게임은 그렇게 열심히 해요.”

그 이유는 단순합니다.

게임은 자율성, 선택권, 즉각적인 보상, 성장의 재미가 다 들어있는 최고의 내재 동기 시스템

이기 때문입니다.

반대로, 공부는 ‘누가 시켜서’, ‘엄마 눈치 때문에’ 하게 되면 **편도체가 활성화되며 스트레스를 유발하고, 전전두엽 작동이 억제돼 학습 효과가 떨어집니다.** 결국 공부는 재미도 없고, 결과도 안 나오는 악순환이 반복되죠.


 부모가 자주 하는 실수, 이렇게 바꿔보세요

기존 말투  바꿔 말하기
계획 짜라 오늘 공부 계획은 네가 직접 세워볼래?
왜 또 놀고 있어? 쉬는 시간도 네 계획 안에 들어있구나, 좋아
이건 해야지! 이건 네가 결정한 거니까 해보자, 도와줄게
그렇게 해서 언제 하니? 필요하면 같이 계획 다시 짜보자

 


공부는 분위기에서 자랍니다

부모는 아이에게 공부를 ‘시키는’ 사람이 아니라, 공부가 자라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사람입니다.

자율적인 선택을 응원해 주세요.

감정을 안정시켜 주고 

스스로 계획하고 해냈을 때 자부심을 느끼게 해 주세요.

실패도 괜찮다고 말해주세요.

실패 속에서 내재 동기가 자랍니다


공부는 뇌의 선택입니다

진짜 공부는 아이의 뇌가 ‘하고 싶을 때’ 시작됩니다.
그 뇌는 편안하고, 안전하고,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환경에서 깨어납니다.

강요보다 더 강력한 도구는 ‘존중’과 ‘기다림’입니다.

공부를 잘하는 아이를 만들고 싶다면, 공부하고 싶은 아이로 성장할 수 있도록 ‘부모의 자세’를 먼저 바꿔야 합니다.


📺 출처: 김주환 교수 유튜브 인터뷰 영상 –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7eXw3bYRsqU

 

반응형